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존 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존 디어는 미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작가, 강연가이다. 1959년 노스캐롤라이나에서 태어나 듀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수회 수련을 받았다. 그는 팍스 크리스티 USA의 지역 단체를 설립하고, 전쟁과 핵무기에 반대하는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체포되었다. 1993년에는 F-15 핵 탑재 전투 폭격기를 망치로 두드린 혐의로 체포되어 복역했다. 디어는 화해 재단의 전무 이사, 적십자회 사제 조정자로 활동했으며, 40권의 책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브레넌 매닝
    브레넌 매닝은 가톨릭 사제이자 작가, 강연가, 영적 지도자로서 용서와 은혜를 강조하며 자기 수용을 권면했고, 그의 사상은 기독교계와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풀턴 신
    풀턴 신은 미국의 로마 가톨릭 주교이자 작가, 텔레비전 인물로서, 학문적 배경과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으며, 주교로서 교구를 이끌고 수많은 개종을 이끌어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신부 - 토머스 머턴
    토머스 머턴은 《칠층산》 자서전으로 유명한 미국의 트라피스트회 수도사이자 작가, 시인, 사회 운동가로서 수도 생활, 신비주의, 종교 간 대화, 사회 정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글을 통해 20세기 가톨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신부 - 토마스 키팅
    토마스 키팅은 미국의 트라피스트 수도사이자 사제로, 중심 기도법을 개발하고 컨템플레이티브 아웃리치를 공동 설립했으며, 범재신론적 관점을 지지하며 기독교 영성에 대한 저술 활동을 했다.
  • 미국의 기독교 평화주의자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20세기 미국 건축의 선구자로서, 독창적인 건축 양식과 유기적 건축 철학으로 낙수장, 구겐하임 미술관 등 상징적인 건축물을 남겼고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기독교 평화주의자 - 데이비드 델린저
    데이비드 델린저는 미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양심적 병역 거부, 시민권 운동 참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펼쳤으며, 시카고 7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비폭력 저항과 사회 정의를 위해 헌신하다 2004년에 사망했다.
존 디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존 디어
원어명John Dear
직업신부, 평화운동가
소속예수회
국적미국
출생일1959년
출생지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학력듀크 대학교
경력화해친교단 사무총장
종교가톨릭교
웹사이트존 디어 웹사이트

2. 생애

존 디어는 1959년 8월 13일 노스캐롤라이나주 엘리자베스 시티에서 태어났다. 1981년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있는 듀크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워싱턴 D.C.에 있는 로버트 F. 케네디 인권 재단(Robert F. Kennedy Human Rights)에서 일했다.[1]

1982년 8월, 예수회에 입회하여 펜실베이니아주 Wernersville 수련원에서 수련을 시작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뉴욕주 브롱스 포덤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1985년에는 엘살바도르 난민 캠프에서 예수회 난민 봉사단 소속으로 3개월간 봉사했다. 1986년부터 1988년까지는 펜실베이니아주 스크랜턴 스크랜턴 준비 학교에서 섭정으로 활동했다. 이후 1년간 워싱턴 D.C.의 노숙자 쉼터인 Fr. McKenna Center에서 일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대학원 신학 연합에서 공부했고, 버클리 예수회 신학 대학에서 신학 석사 학위 2개를 받았다.[1]

1993년 12월 7일, 노스캐롤라이나주 골즈보로 세이무어 존슨 공군 기지에서 F-15 핵 탑재 전투 폭격기를 망치로 두드린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두 건의 중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노스캐롤라이나 교도소에서 7개월 반, 워싱턴 D.C.에서 가택 연금 4개월 반, 이후 3년간의 보호 관찰 처분을 받았다.[2] 플라우셰어즈 군축 운동의 일환으로, 이사야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라"는 명령과 예수의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

1999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 대표단을 이끌고 이라크 평화 사절단을 파견했으며, 팔레스타인/이스라엘에도 종교 간 대표단을 파견했다.

2006년,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미국의 이라크 전쟁 반대 시위를 이끌었다. 2009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미국의 드론 전쟁에 반대하는 크리치 공군 기지 시민 불복종 시위에 참여하여 네바다주 클라크 카운티 교도소에 하룻밤 동안 수감되었다가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이미 복역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존 디어는 1959년 8월 13일 노스캐롤라이나주 엘리자베스 시티에서 태어났다. 그는 1981년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있는 듀크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 그 후 그는 워싱턴 D.C.에 있는 로버트 F. 케네디 인권 재단(Robert F. Kennedy Human Rights)에서 일했다.

2. 2. 예수회 수련

1982년 8월, 디어는 예수회에 입회하여 펜실베이니아주 Wernersville에 있는 수련원에서 수련을 시작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뉴욕주 브롱스에 있는 포덤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1985년에는 3개월 동안 엘살바도르의 난민 캠프에서 예수회 난민 봉사단에서 생활하며 일했다.[1]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섭정 기간 동안 펜실베이니아주 스크랜턴에 있는 스크랜턴 준비 학교에서 가르쳤다. 그 후 1년 동안 워싱턴 D.C.에 있는 노숙자를 위한 드롭인 센터이자 쉼터인 Fr. McKenna Center에서 일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 있는 대학원 신학 연합에서 공부했고, 버클리 예수회 신학 대학에서 신학 석사 학위 2개를 받았다.[1]

2. 3. 사제 서품과 평화 운동

1993년 12월 7일, 존 디어는 노스캐롤라이나주 골즈보로에 있는 세이무어 존슨 공군 기지에서 F-15 핵 탑재 전투 폭격기를 망치로 두드린 혐의로 다른 세 명과 함께 체포되었다.[1] 그는 수감되어 재판을 받고 두 건의 중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노스캐롤라이나 교도소에서 7개월 반을 복역했고, 워싱턴 D.C.에서 가택 연금 4개월 반을 보낸 후 3년간의 보호 관찰을 받았다.[2] 플라우셰어즈 군축 운동의 일환으로, 피고인들은 이사야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라"는 명령과 예수의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

1999년, 존 디어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로 구성된 대표단을 이끌고 이라크 평화 사절단을 파견했으며, 팔레스타인/이스라엘에도 종교 간 대표단을 파견했다.

2006년, 존 디어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를 이끌었다. 2009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미국의 드론 전쟁에 반대하는 크리치 공군 기지 시민 불복종 시위에 크리치 14와 함께 참여하여 네바다주 클라크 카운티 교도소에 체포되어 하룻밤을 보냈다. 그는 나중에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이미 복역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3. 평화 운동과 시민 불복종

디어는 전쟁, 불의, 핵무기에 반대하는 수많은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에 참여했다. 1993년 12월 7일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세이무어 존슨 공군 기지에서 F-15 핵 탑재 전투 폭격기를 망치로 두드린 혐의로 체포되어 노스캐롤라이나 교도소에서 7개월 반을 복역했고, 워싱턴 D.C.에서 가택 연금 4개월 반을 보낸 후 3년간의 보호 관찰 처분을 받았다.[2]

3. 1. 주요 활동

디어는 미국 가톨릭 평화 운동 단체인 팍스 크리스티 USA의 지역 단체인 베이 에어리어 팍스 크리스티를 설립했다.[1] 또한 사형 집행을 앞둔 사람들을 위해 여러 주지사에게 마더 테레사의 중재를 요청하는 일을 시작했다.

디어는 전쟁, 불의, 핵무기에 반대하는 수많은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에 참여하여 펜타곤에서 캘리포니아 리버모어 연구소에 이르기까지 체포되었다. 1993년 12월 7일, 노스캐롤라이나주 골즈보로에 있는 세이무어 존슨 공군 기지에서 F-15 핵 탑재 전투 폭격기를 망치로 두드린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다.[1] 그는 플라우셰어즈 군축 운동의 일환으로, 이사야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라"는 명령과 예수의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디어는 뉴욕주 나약에 본부를 둔 미국 최대의 종교 간 평화 단체인 화해 재단의 전무 이사로 재직했다. 1999년에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로 구성된 대표단을 이끌고 이라크 평화 사절단을 파견했고, 팔레스타인/이스라엘에도 종교 간 대표단을 파견했다.

2001년 9월 11일 직후, 디어는 맨해튼의 가족 지원 센터에서 적십자회 사제 조정자로 일하며 수천 명의 유족과 구조 대원을 상담했다. 2006년, 디어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를 이끌었다. 2009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미국의 드론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여 네바다주 클라크 카운티 교도소에 체포되기도 했다.

4. 저술 및 강연 활동

디어는 ''내셔널 캐톨릭 리포터(National Catholic Reporter)''와 허핑턴 포스트에 주간 칼럼을 기고했으며,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와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등 미국의 다양한 출판물에도 소개되었다.[2] DVD 다큐멘터리 영화 ''좁은 길''(The Narrow Path)에 출연했고, 패티 노르밀의 저서 ''존 디어의 평화에 관하여''(John Dear on Peace, St. Anthony Messenger Press, 2009)의 주제이기도 하다.[3]

4. 1. 저술

존 디어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스코틀랜드, 캐나다, 잉글랜드 등 전 세계의 교회, 학교, 단체에서 평화, 군축, 비폭력에 관한 수천 번의 강연을 해왔다.[1] 그는 ''내셔널 캐톨릭 리포터(National Catholic Reporter)''와 허핑턴 포스트(Huffington Post)에 주간 칼럼을 기고했으며,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와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등 미국의 다양한 출판물에도 소개되었다.[2] 또한, DVD 다큐멘터리 영화 ''좁은 길''(The Narrow Path)에 출연했고, 패티 노르밀(Patti Normile)의 저서 ''존 디어의 평화에 관하여''(John Dear on Peace, St. Anthony Messenger Press, 2009)의 주제이기도 하다.[3] 그는 수백 편의 기사와 40권의 책을 출판했다.

4. 1. 1. 대표 저서

존 디어의 대표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비고
《마음을 무장 해제하라: 비폭력 서약을 향하여》존 스토너 서문
《진 도노반과 제자 됨의 부름》
《우리 하느님은 비폭력적이시다: 호레이스 맥케나 신부의 말씀》편집
《우리 하느님은 비폭력적이시다: 평화와 정의를 위한 투쟁의 증인》엘리자베스 맥앨리스터 서문
《핵무기 제조는 죄악이다: 리처드 맥소울리 신부의 글》편집
《오스카 로메로와 정의를 위한 비폭력 투쟁》
《비폭력의 씨앗》토마스 검블턴 서문
《평화의 하느님: 비폭력 신학을 향하여》제임스 W. 더글러스 서문
《시민 불복종의 성사》다니엘 베리건 서문
《감옥 뒤의 평화: 평화주의 사제의 감옥 일기》필립 베리건 서문
앙리 누웬의 《평화로 가는 길: 평화와 정의에 관한 글》편집
《반항하는 예수》다니엘 베리건 서문
《평화의 비전: 메리드 매과이어의 글》달라이 라마 서문, 편집
《듣는 소리: 토마스 머튼의 은둔처에서의 명상 일기》
《그리고 부활한 빵: 다니엘 베리건 신부의 시 선집》편집
《살아있는 평화: 성찰과 행동의 영성》
《기독교와 채식주의: 예수의 비폭력을 추구하며》
《모한다스 간디: 필수 저작》편집
《나사렛의 마리아, 평화의 예언자》조안 치스티스터 서문
《예수의 질문》리처드 로어 서문
《증언: 다니엘 베리건의 에세이》편집
《변용》데스몬드 투투 서문
《너희는 나의 증인이 되리라》윌리엄 맥니콜스 목사의 아이콘 포함
《평화의 강림》
《끊임없는 평화: 자서전》마틴 쉰 서문
《너의 칼을 내려놓아라: 평화와 정의에 관한 에세이》
《다니엘 베리건: 필수 저작》편집
《나사로야 나오라!: 예수는 어떻게 죽음의 문화를 직면하는가, 그리고 우리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토마스 머튼의 평화주의자》
《비폭력적인 삶》
《급진적인 기도》
《그들은 땅을 상속받으리라: 기후 변화 시대의 평화와 비폭력》
《평화의 팔복》
《길을 걷다》
《우리 주의 문제: 다니엘 베리건의 시》편집
《평화에 찬양을》
《평화의 복음: 비폭력적 관점에서 본 마태, 마가, 누가 복음 해설》


4. 2. 강연

디어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스코틀랜드, 캐나다, 잉글랜드 등 전 세계의 교회, 학교, 단체에서 평화, 군축, 비폭력에 관해 수천 회의 강연을 해왔다.

5. 비판과 논란

디어는 급진적인 평화 운동 방식과 반미 성향으로 인해 일부 보수 진영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1993년 12월 7일 노스캐롤라이나주 골즈보로에 있는 세이무어 존슨 공군 기지에서 F-15 핵 탑재 전투 폭격기를 망치로 두드린 사건은 미국의 안보 정책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 디어와 그의 동료들은 플라우셰어즈 군축 운동의 일환으로, 이사야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라"는 명령과 예수의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 이 사건으로 디어는 수감되어 재판을 받고 두 건의 중죄로 유죄 판결을 받아 노스캐롤라이나 교도소에서 7개월 반을 복역했고, 워싱턴 D.C.에서 가택 연금 4개월 반을 보낸 후 3년간의 보호 관찰을 받았다.[2]

참조

[1] 서적 Plowshares: Protest, Performance, and Religious Identity in the Nuclear Ag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16
[2] 서적 Swords Into Plowshares: A Chronology of Plowshares Disarmament Actions 1980-2003 Rose Hill Books 2003
[3] 서적 Faith-Based Radicalism: Christianity, Islam and Judaism Between Constructive Activism and Destructive Fanaticism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7-09-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